
지역별 김장용 젓갈의 특징은 단순히 ‘입맛의 차이’가 아니라, 기후·지리·바다 접근성·어종 분포·발효 환경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지역 문화의 결과입니다.
아래에서는 전국 주요 권역별 김장 젓갈의 특징과 김치 스타일을 설명형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1. 서울·경기 등 중부 내륙권


특징:
서울과 경기 지역은 상대적으로 추운 기후 덕분에 김치가 천천히 발효되기 때문에, 젓갈을 많이 넣지 않고 담백하게 담그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극적인 맛보다 깔끔하고 은은한 감칠맛을 선호하죠.
사용 젓갈:
주로 새우젓을 중심으로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조기젓이나 황석어젓을 소량 섞기도 합니다. 간이 너무 세지 않게 하면서도 김치의 풍미를 부드럽게 유지하는 조합이에요.
맛 경향:
깔끔하고 중간 정도의 간을 유지하며, 짠맛보다는 신선한 배추 본연의 맛을 살립니다. ‘서울식 김치’는 국물이 맑고, 지나치게 자극적이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2. 강원도 및 동해안 지역

특징:
해산물이 풍부한 동해안 지역답게 젓갈뿐 아니라 생선이나 오징어를 직접 넣은 해물김치도 흔합니다. 해양성 기후로 인해 김장이 다소 짧은 시기 안에 이뤄지고, 시원하고 산뜻한 맛을 내는 김치가 많습니다.
사용 젓갈:
새우젓이 기본이지만, 창난젓, 오징어채, 동해산 생선 젓갈류 등이 함께 쓰입니다. 깍두기에는 창난젓을 넣어 감칠맛을 더하기도 합니다.
맛 경향:
해물의 향이 강하고, 시원하면서도 맑은 맛이 강조됩니다. 무나 해산물 중심 김치가 많으며, 배추김치보다 해물김치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3. 충청도 (내륙 + 해안 혼합권)



특징:
충청도 김치는 ‘소박한 맛’이 특징입니다. 채소 본연의 신선함을 살리려는 경향이 강하고, 간이 세지 않습니다. 해안 지역도 있지만, 젓갈을 과하게 쓰지 않습니다.
사용 젓갈:
새우젓을 기본으로 하되, 조기젓, 황석어젓 등을 약간 혼합해 사용합니다. 젓갈의 비중은 다른 지역보다 낮은 편입니다.
맛 경향:
자극적이지 않고, 깔끔하면서도 중간 정도의 간을 유지합니다. 젓갈보다는 채소의 단맛과 마늘, 생강 등의 향신료 맛이 은은하게 어우러집니다

특징:
전라도는 바다와 인접해 있고, 해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젓갈의 종류와 양이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지역입니다. 김장에 정성과 재료를 아끼지 않아 ‘진하고 화려한 김치’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사용 젓갈:
멸치젓, 조기젓, 밴댕이젓, 병어젓, 그리고 보조로 새우젓을 함께 사용합니다. 여러 젓갈을 섞어 쓰며, 젓갈 자체가 양념의 중요한 구성요소가 됩니다.
맛 경향:
진하고 짭짤하면서 감칠맛이 매우 풍부합니다. 양념에 찹쌀풀, 깨소금, 들기름 등을 넣어 깊은 맛을 내며, 국물도 많고 색감이 강렬합니다.
‘전라도 김치’는 매운맛·짠맛·단맛의 조화가 탁월하고, 발효 후에도 풍미가 오래 유지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5. 경상도 / 남동해안 및 남부 산간 지역

특징:
기온이 높고 발효가 빠른 지역이라 김치가 쉽게 익는 편입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젓갈과 소금의 양을 조금 더 강하게 조절합니다. 김치의 양념은 전라도보다 단순하지만 간이 세고 강한 인상을 줍니다.
사용 젓갈:
멸치젓이 주류이며, 갈치속젓, 청어젓 등 특산 젓갈을 함께 사용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젓갈을 넉넉히 넣어 깊은 감칠맛을 내기도 합니다.
맛 경향:
맵고 짠 편이며, 양념은 간결하면서도 강합니다. 김치 국물의 점도는 낮고, 마늘 향이 강하게 느껴집니다. 남부 지역 김치 특유의 ‘진하고 짭짤한 맛’이 이 지역의 특징입니다.
6. 제주도 / 해안 섬 지역
특징:
제주는 따뜻한 기후로 인해 대규모 김장을 많이 하지 않습니다. 대신, 해산물을 적극 활용한 해물김치가 발달했습니다.
사용 젓갈:
전복젓, 해물젓, 자리젓 등 지역 해산물을 활용한 젓갈이 쓰이며, 그 외 바다 향을 살린 젓갈류가 많습니다.
맛 경향:
바다의 향이 진하고, 양념은 단순하면서도 재료 본연의 풍미가 강조됩니다. 김치라기보다 ‘해물절임’ 형태의 전통 발효음식도 많습니다.
7. 지역별 김장 젓갈 문화 요약 포인트
- 남쪽 지역일수록 발효가 빠르기 때문에 간이 강하고 젓갈의 염도가 높습니다.
- 해안 지역은 해산물 자원이 풍부하여 멸치젓·조기젓·해물젓의 사용 비중이 높습니다.
- 내륙 지역은 젓갈보다는 새우젓 중심의 단순한 조합을 선호합니다.
- 기후에 따라 같은 젓갈이라도 숙성 정도와 양이 달라집니다.
- 현대에는 유통 발달로 지역 간 재료 교류가 많아졌지만, 전통 김장법은 여전히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요.
2025.10.17 - [분류 전체 보기] - 김장용 젓갈 종류와 좋은 젓갈 고르는 법
김장용 젓갈 종류와 좋은 젓갈 고르는 법
김장용 젓갈은 단순히 짠맛을 내는 재료가 아니라, 김치의 깊은 맛과 발효 균형을 결정짓는 핵심 조미료입니다. 좋은 젓갈을 고르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김치의 풍미를 좌우하죠. 아래는 김장
store.carastory365.com
2025.10.16 - [분류 전체 보기] -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4분기 접수 시작 신청만 하면 100만 원
경기도 청년 기본 소득 4분기 접수 시작 신청만 하면 100만 원
“신청만 하면 100만 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4분기 접수 시작 2025년 4분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이 드디어 시작됐다.만 24세 경기도 청년이라면 누구나 연 최대 100만 원의 지역화폐를
store.carastory365.com
2025.10.15 - [분류 전체 보기] - 겨울철 고구마 저장용 공간 만들기(스티로폼 보관함 )
겨울철 고구마 저장용 공간 만들기(스티로폼 보관함 )
겨울철 고구마 저장용 공간 만들기 (스티로폼 보관함 DIY 완벽 가이드) 겨울철에는 아침저녁 기온 차가 커서 고구마를 그냥 실내에 두면 쉽게 냉해를 입습니다.하지만 온도와 습도만 잘 맞춰주면
store.carastory365.com
2025.09.05 - [분류 전체 보기] - 경찰 계급 체계, 직급 체계, 계급표 완전 정리
경찰 계급 체계, 직급 체계, 계급표 완전 정리
경찰 조직은 국민의 안전과 질서를 책임지는 국가기관으로, 계급이라는 위계질서를 통해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대한민국 경찰공무원은 「경찰공무원법」에 따라 11단계 계급 체계
store.carastory365.com